빅데이터시대를 맞아 중국외교의 의제, 영역 및 참여범위가 계속해서 확대되고 끊임없이 난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 문제들은 날로 복잡해지며 비상대응시간도 점차 짧아지고 있다.
새로운 국면에 어떻게 적응하고 빅데이터를 이용해 중국외교에 이바지하며 외교정책을 더욱 과학적으로 결정하고 시행하여 더욱 신속하게 반응할 것인가?
외교정책결정 및 시행의 효율과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교 빅데이터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제 외교에 유익하게 활용해 외교가 정확하고 신속하며 과학적으로 발전하도록 해야 한다.
현재 외교사무중에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현상과 각 부처가 ‘각개전투’하는 상황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빅데이터 베이스의 기술이 밑받침되면 정부부처간 및 싱크탱크와의 협조와 소통에 효율적인 공동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정보화시대의 외교정책결정 및 시행은 ‘정상화’된 소통과 협조가 필요하며, 정세판단, 정책제안, 시행평가 모두 관련부처가 정보를 공유해 정책의 선택사항을 공동으로 연구, 판단해야 한다.
또한, 싱크탱크의 연구성과가 정부부처와 즉시 소통, 연계되어 서로 접목되고 영향을 주고받는 변화의 과정을 형성해야 한다. 외교정책결정부처간 및 싱크탱크와의 긴밀한 협력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정보 및 의견교환, 문제발견 및 해결, 정책적인 합의를 통해 외교정책결정의 공동혁신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빅데이터(Big Data)시대의 중국외교2015.06.25
- 외교 빅데이터 베이스 구축으로 정책결정기관 보조2015.06.25
- 빅데이터를 이용한 교통, 소통, 행동플랫폼 구축2015.06.25
- 빅데이터를 이용한 위기관리·통제능력 강화2015.06.25
- 빅데이터를 이용한 공공외교로 민심의 기초 다지다2015.06.25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
- 경제
- 사회
-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