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중국과의 교역·투자·인적교류·관광 등 협력 강화 희망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쑹쥔지 중국 산둥성 부성장과 협력 활성화 방안 논의.
김동연 지사, 교역·투자·인적 교류·관광·스포츠 등 면에서 중국과 협력 강화 희망.
오재헌 기자 | 2023-04-01 14:39:18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오재헌 기자]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쑹쥔지(宋軍繼) 중국 산둥성(山東省) 부성장을 만나 지역 간 협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 사진/경기도 제공

 

 

 

 

▲ © 사진/경기도 제공

 

염태영 경제부지사는 지난 3월 10일 오후 경기도청을 방문한 쑹쥔지 중국 산둥성 부성장을 만난 자리에서 “산둥성은 중국 경제 성장의 엔진으로 경제적 위상이 높을 뿐만 아니라 유교문화의 발상지로 문화가 발달하고 우리에게 친숙한 지역”이라며, “경기도는 대한민국 인구, 경제의 1/4을 차지하는 한국 최대 지방정부로 산둥성과 지역적 인접성을 바탕으로 활발한 교류를 이어왔다”고 말했다.


또한 “수원시장 시절, 수원시와 산둥성 지난시(濟南市)가 자매도시여서 지난시가 개최하는 ‘국제샘물문화경관도시연맹회의’에 축하 영상 메시지를 보내 양 도시 간 우호 증진 계기를 마련했다”라며 산둥성과의 인연을 소개했다.


쑹쥔지 부성장은 “경기도와 산둥성은 2009년 자매결연을 체결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온 중요한 파트너로 향후 협력부서 참여형 협의체인 우호 협력 연석회의의 역할 강화, 항만 분야 협력 강화와 과학기술·농업과학 기술 분야 교류를 활성화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지사님을 비롯한 경기도 관계자의 산둥성 방문으로 우호 교류를 이어 나가길 기대한다”라고 초청 의사를 밝혔다.


염 부지사는 “이번 부성장님의 경기도 방문은 중단된 교류 협력 사업의 재개를 알리는 발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하반기 개최 예정인 경기연구원-산둥사회과학원 간 발전포럼 등 지역민 복지에 유익한 사업이 지속되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화답했다.


이날 만남은 산둥성 부성장 요청에 경기도가 산둥성 대표단을 초청하며 이뤄졌다.


산둥성은 중국 내 경제 규모 3위, 인구 약 1억 명, 한국 기업의 중국 내 진출이 가장 많은 지역이자 공자(孔子)가 태어난 곳이며 중국의 명산인 태산(泰山)이 소재한 곳이다.


경기도는 중국 산둥성과 자매결연 체결(’09) 이후 대학교류협의회 창설(’12), 농업과학기술 교류, 공동현안 방안 모색을 위한 발전포럼, 국제회의 참가(한중 수교 30주년 산둥성 경축의 달 행사(’22년)) 등 다양한 교류를 이어왔다. 경기도는 올 하반기 양 지역 교류사업 추진부서 참여형 협의체인 우호 협력 연석회의 2차 총회를 개최해 협력 사업 발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김동연 지사는 지난해 12월 14일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와 만나 미래 신산업·미래세대 등 경기도-중국 간 교류 방안을 논의하고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청을 방문한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와 만난 자리에서 “제가 부총리 때나 장관할 때나 중국과의 경제협력 관계에 있어서 특별히 신경을 썼고 최근까지 깊은 관심이 있다”며 “경기도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공급망의 허브로 앞으로도 더욱 돈독한 관계를 맺기를 기대한다. 교역, 투자, 인적 교류, 관광, 스포츠 등 모든 면에서 중국과의 협력 강화에 한층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저희가 중국 8개 지역과 교류를 하고 있는데 경기도와 중국의 협력 지평을 더 넓혔으면 좋겠다”며,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굉장히 특별한 위치에 있다. 모든 경제의 중심이고, 반도체, 바이오, 인공지능, 빅데이터, 모빌리티 등 새로운 성장산업의 허브”라고 설명했다.

 

 

▲ © 사진/경기도 제공


김 지사는 “경기도와 중국의 여러 지역과 협력을 강화하면 대한민국과 중국의 관계에도 한층 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저희도 그런 생각으로 열심히 노력을 하겠고, 대사께서 좋은 역할을 해주시면 같이 힘을 합쳐서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김동연 지사께서는 오래전부터 국가 부총리를 하면서 특히 중한 경제에 크게 공헌하셔서 기억하고 있다. 경기도지사가 되고 나서도 계속 중국에 대해서 관심이 많으셔서 시진핑 주석도 김 지사님을 알고 계시다. 얼마 전 장쩌민 주석 조문을 오셔서 감동하였고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고 인사를 전했다.


이어 “중국이 개혁개방을 크게 할 계획인 만큼 한국을 비롯한 주변 나라에 좋은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앞으로 활발히 교류하길 바란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이날 세계 경제정세와 미래 신산업 협력, 미래세대 교류, 한반도 평화, 탄소중립, 문화콘텐츠 협력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의견을 나눴다.


한편, 김 지사는 2018년 1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에서 ‘파구입신(破舊立新, 낡은 것을 타파하고 새로운 것을 세운다)’을 주제로 한국의 경제정책을 주제로 강연하는 등 중국과 인연을 이어왔다. 지난해 12월 5일에는 서울 중구 주한 중국대사관에 마련된 고(故)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 분향소를 찾아 조문했는데 이때 다시 만남의 자리를 갖고 차담을 나누기도 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싱하이밍 대사에게 “우호 협력을 넘어 경제협력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경기도의 대(對)중국 교역규모는 지난해 기준 985억 달러(32.8%)로 중국은 경기도의 최대 교역국이다. 도내 수출기업 중 33.9%에 달하는 1만1,512개 사가 대중국 수출기업일 정도로 경기도와 중국은 긴밀한 경제협력 파트너라 할 수 있다.


경기도는 한중 수교 이듬해인 1993년 랴오닝성(遼寧省)과의 자매결연을 시작으로 중국 8개 지방정부와 자매결연·우호협력 관계를 체결하고, 경제통상·문화예술·환경 등 다양한 교류 협력을 추진해오고 있다.

글/경기도 제공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보내기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오재헌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