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정책결정 및 시행은 빅데이터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뤄져야 한다. 빅데이터수집 및 정보처리능력은 외교정책결정기술의 기초로 제도설계를 통해 외교 빅데이터베이스롤 구축하고 이를 국가전략으로 격상시켜 빅데이터데이터의 전면성과 안정성, 정확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외교 빅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두드러진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부문의 데이터베이스를 협조, 연계하여 각 ‘지류’들을 모아 외교 빅데이터의 ‘대세’로 만드는 것. 둘째, 외교분야는 통제 불가능하며 불안정한 요소들이 많은데다 세계 및 각 분야와 관련해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무수히 많다. 외교부처는 밤낮없이 경상업무 및 위기처리에 대응해야 하며, 기초적인 빅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중국은 외교적인 큰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보고 외교와 비(非)외교부처의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총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중국의 글로벌화’와 ‘세계의 중국화’라는 추세 속에서 중국 관계부처들의 데이터베이스자원은 ‘외사 빅데이터베이스’로 통합되어 외교정책결정에 서비스해야 한다. 빅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지 못하면 비용이 크게 증가할 뿐 아니라 여러 데이터베이스가 정보와 정책선택항목을 동시에 전송해 외교데이터가 혼잡해지고 외교정책을 결정하기가 어려워진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관련시스템을 종합할만한 권위가 있고 빅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각 부처에 협조하는 국가안보위원회를 핵심으로 외교 빅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외교 빅데이터베이스의 평소 관리는 전담부서에 맡겨 모든 데이터가 심사 후 빅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고 국가안보위원회의 데이터를 언제든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로서 가장 시급한 것은 반(反)테러와 영사보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국경관리, 고위층방문, 외교담판, 사령관업무, 뉴스발표, 외교에티켓, 주변지역, 대국자원, 해양자원, 중국인 및 화교, 세계기후, 국제기구와 국제회의, 대외원조, 에너지안보, 핵 안보, 공공위생, 무기거래 등등 플랫폼의 기타 서브 풀(sub pool) 역시 점차 구축, 통합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빅데이터(Big Data)시대의 중국외교2015.06.25
- 외교 빅데이터 베이스 구축으로 정책결정기관 보조2015.06.25
- 빅데이터를 이용한 교통, 소통, 행동플랫폼 구축2015.06.25
- 빅데이터를 이용한 위기관리·통제능력 강화2015.06.25
- 빅데이터를 이용한 공공외교로 민심의 기초 다지다2015.06.25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
- 경제
- 사회
-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