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한 관계의 거점은 어디인가?
이러한 견해는 매우 설득력 있어 보이지만 이것이 가짜 명제임을 증명하는 예들도 많다.
영국 연구원이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성들이 가장 아름다운 나이를 31세라 응답했다. 대부분 누군가의 아내이자 어머니로서 자신감과 미모를 겸비하여 매력치가 절정에 달하는 나이이다.
2천여 명의 남녀지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 응답자가의 70% 가량이 자신감을 아름다움의 중요요소로 꼽았으며 67%는 외모가 가장 중요하고 대답했으며, 47%는 여성의 아름다운지를 판단할 때 스타일을 본다고 응답했다.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의 가장 큰 차이는 스스로 비하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 자신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가 이다.
자신에게 어떠한 자기예언을 하느냐에 따라 결혼생활이 달라진다. 외부세계를 빨간 두건 속의 세계로 본다면 결혼생활의 고충을 참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외부세계를 온건하게——길이 구불구불하고 앞길이 밝다고 본다면 좋은 생활을 더욱 추구할 수 있다.
결혼생활에서 우리는 현대 중국인들의 세계관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를 가장 잘 형용한 한 베스트셀러 책 이름이 있다——<험악한 세상, 마음을 단련하라(世界如此险恶,我们要内心强大)>가 그것이다.
현재의 사회심리는 중국 과거의 영향을 벗어날 수 없다. 중국은 격동의 100년을 보냈다. 전쟁, 문화대혁명, 개혁개방 등으로 입은 정신적인 상처가 너무 많다. 사회환경의 거대한 변화에 따라 안정적인 문화가치관으로 친밀한 관계 중의 문제를 직면할 수 없게 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이에 따라 이러한 상황이 나타난다. 60년대 부모님의 결혼문화를 빠링허우(80后, 1980년대에 출생한 청년들)세대에 태어난 아이들이 마주하는 세계에 적용할 수 없다——거의 모든 방문객들이 사회에 진출할 때 부모에게 속은 기분이었다고 말했다. 부모가 약속한 세계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부모가 약속한 세계는 어떤 세계인가? 희생과 도덕, 가족문화로 세워진 세계이다.
그러나 해방 이후 그러한 세상의 가족문화가 파괴되었고 중국의 2, 3선 도시에서도 가족문화의 생명력이 유지되고 있었다. 해방 이후 단위(单位)이라는 조직이 어느 정도 결혼생활의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이어받았다. 해방 이전 결혼생활의 문제는 집안에서 해결된 반면, 해방 후에는 교화문제가 한 사람의 평생 앞날을 결정하는 큰 일이 되었다.
개혁개방으로 단위의 영향력도 점차 약화되면서 중국문화는 ‘아는 사람 문화’에서 ‘모르는 사람 문화’로 들어섰다. 특히 중, 대형도시의 경우 사람들이 파편화되어 존재하므로 친인척보다 모르는 사람들끼리 더 많은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반면, 가족의 힘은 더 이상 도움이 아닌 스트레스의 근원이 되었다. 매년 설에 쏟아져 나오는 ‘결혼 추궁 대응 지침서’가 그 증거이다.
1970년대~1990년대에 태어난 세대 부모님들의 결혼관은 지난 세대의 가치관으로 결혼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사회시스템이 무너진 현대사회에는 뒤떨어지고 시대적 착오가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시장이 결혼생활에 들어오면 배금주의, 여성주의 등 경쟁문화가 시작된다. 과거 여성의 이미지는 도덕을 제일로 하는 약자로서 남성의 권위주의 문화를 견제하며 죄책감으로 남성들이 결혼생활을 유지하도록 했다.
그러나 현재는 많은 여성들이 자아각성 의식이 생기고 어려서부터 경쟁문화를 받아들여 <갈망(渴望)>의 류후이팡(刘慧芳)과 같은 ‘구식’여자 역할을 하기가 어려워졌다. ‘고생녀(苦逼女人)’는 득의양양 함을 이기지 못하는 ‘웃픈’여인들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과도한 타협에서 과도한 경쟁의 또 다른 극단으로 넘어가고 전 사회가 어떻게 일상적이 마음을 가지고 경쟁을 대하는지, 어떻게 진정한 ‘패어플레이’정신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지를 모른다. 그러나 지나친 희생과 타협의 문화와 지나친 강탈과 자기애(나르시즘)문화 사이에서 중국의 결혼은 충분히 좋은 거점과 받침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친밀한 관계에 대해 큰 환멸감을 가지고 남자의 약속이나 여자의 아름다움을 금방 사라질 것으로 여겨 믿지 않는다. 또한 결혼생활에 대해 충분한 사상적 무기로 자신을 무장하지 못했다. 부모의 무기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현재의 위기는 나날이 새로워져 과거의 QQ, 이후의 휴대폰, 그리고 웨이신(微信)과 모모(陌陌) 모두 관계유지의 어려움과 능력부족을 점점 더 체감하게 하고 있다.
여자의 나이가 가장 큰 장애물이라면 결혼생활은 또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결혼생활은 부부가 ‘백년해로’해야 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이혼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이유 (1)2015.06.29
- 이혼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이유 (2)2015.06.29
- 이혼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이유 (3)2015.06.29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
- 경제
- 사회
-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