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미년 양띠 해, ‘羊’을 말하다

온라인팀 news@inewschina.co.kr | 2015-02-03 19:06:57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 © 중국신문주간
 

 

2015 년 을미년,중국 전통에서 60 년에 한번 돌아오는 ‘금양년’이다.


양 토템은 중국 전통 문화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양은 고대 한자 중 길상문화의 뜻으로 넓은 의미가 주어진다. 양은 인의공평, 친근평화, 권력과 재산 등을 상징하였다. 양의 길상문화는 각종 명칭에 침투하였으며 심미, 창조, 오락, 음식, 양육, 혼장(婚葬)등 여러 분야에 나타났다.


양의 길상원소가 현대인의 기본특징을 계승과 구축하였으며 사람의 일상생활에 아름다움을 증가하였다.


양 마스코트가 상징하는 의미 양(羊), 바로 상(祥)이다. 고대 공정 중에 차를 보통 양차라고 부른다. 바로 길상의 의미를 채택한다. 사람이 자주 말하던 ‘산양카이타이’(三羊开泰)는 길상말 중 하나이다. 옛날 사람은 羊과 祥 같은 의미로 쓴다, 대길양은 바로 대길상이라고 한다. 양으로 인테리어하는 것은 바로 길리(吉利)와상서(祥瑞)한 것으로 의미한다.


양, 유아온순, 부드러운 점이 있다. 아주 옛날부터 바로 인간과 함께 생활하였고 사람에게 호감을 받는다. 한자 중 미(美)자 위 부분에 양 자를 넣었다는 것도 아름다움의 상징을 볼 수 있다.


명나라, 청나라 시기에 민간에 청양(青阳), 홍양(红阳), 백양(白阳)을 과거, 현재, 미래로 의미한다는 전설이 있다. 삼양개태(三阳开泰)는 길살말이며봄이 되어 대지에 생기가 넘치고모든 경물이 일신하다는 의미였다. 흥성 발달하고 모든 일이 술술 마음먹은 대로 되다는 칭찬이다. 항상 양 세 마리가 따뜻한 햇빛 밑에서 풀을 뜯어먹는 그림으로 상징한다.


‘삼양개태’가 길상말인데 오양을 들어본 적 있나요? 남국에 도시가 하나있어 오양의 길을 받았다. 양은 광저우에 길상을 주는 오곡의 신이라고 전해졌다. 진배연(晋裴渊)의 <광저우기> 중에 오양전설을 기재하였다. 청나라초기부터 오양의 이야기 여전히 현지 사람에게 흥미 진진하게 나누는 화제였다. 구대균(屈大均)의<광저우신어>중에 아주 옛날에 남해 신선 5분이 계신다. 신선들 서로 다른 색갈 옷을입고 계신다.


또한 서로 다른 색갈인 양을 타는다. 신선들이 광저우에 와서 오곡을 인간에게 기부하였고 배고프지 않도록 축복을 주었다. 이어서 오 신선이 날아 떠나서 그들의 양은 돌로 변화하였다. 오 신선과 양 다섯 마리가 오곡이 풍성한 축복을 가져왔다. 광저우는 양성이라고도 부르며 수(穗)로 약칭한다는 이유는 오양전설에서 근원하였다. 현재, 광저우 시내 월수산공원에 오양조각을 우뚝 솟아 있어 이것이 바로 광저우의 상징이라고 한다.

 

▲ 광저우 오양도 © 중국신문주간

 


오곡이 풍성함을 축복하는 양은 우사(雨师)로 생각하였다--용과 함께 비를 내려주는 신물. 당전기<유이전>동(铜)양은 병을 물리치고 재부를 증가함을 의미한다. 양은 영(赢)의 발음과 가까워서 도박의 운세에 도움이 된다. 또한 집에 병을 걸리는 가족이 있다면 이 물품을 침대의 머리판 양쪽에 각 하나를 놓아두면 건강에 대해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물품이 업무상에 자꾸 잘 안 되는 일을 해결해줄 수 있고 뒷말을 감소할 수 있다. 양은 평화의 물품이라 작업테이블에 놓아두면 효과가 명확해진다.


양띠의 유래


중국민간전설 중에 양은 그리스 신화 중의 프로메테우스와 또같은 위대한 존재였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천불을 줬다더니 형벌을 받았으며 양은 인간에게 오곡을 줬다더니 목숨을 바쳤다.


태고시대 세상에 오곡이 없는 것이다. 인간은 야채와 잡초를 먹고 살았더니 심한 영양 실조때문에 안색도 안 좋고 몸이 얇아진다. 어느 가을에 하늘에서 온 양은 세상에 와있었는데 안색이 안 좋은 인간의 모습을 보았다. 원인를 물어봐서 인간이 양식을 심을 줄 모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양은 착한 마음을 유출돼서 다음에 꼭 오곡의 씨앗을 인간에게 자져와 줄것이라고 약속하였다. 그 시대에 영양이 많은 오곡이 하늘의 정원에 있을뿐이다. 인색한 옥황상제가 인간과 함께 양식을 나누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양은 하늘에 돌아와서 수호신이 밤 수면의 중간에 정원에 몰래 오곡(쌀, 기장, 밀, 콩,마)을 따서 입에 넣어서 새벽이 되지 않기 전에 인간 세상에 다시 내려왔다.


인간은 양이 그들에게 오곡 씨앗을 가져왔다는 것을 들어보니 매우 궁금했다. 양은 인간에게 씨앗을 맡기고 오곡을 심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나서 조용히 하늘에 돌아갔다. 인간이 오곡의 씨앗을 심어서 그 해에 바로 양식을 나왔다. 수확할 때 인간은 오곡의 이삭이 양머리도 닮았고 양꼬리도 닮았는데 수확된 마로 만든 옷이 아주 가볍고 따뜻해서 양이 씨앗을 주는 은혜를 감사하기 위해 겨울에 지나서 바로 성대한 제사를진행하였다. 이 제사 의식은 아직도 여전히 시골에서 존재한다. 성대한 제사의식은 옥황상제에게 들게 되었다. 상제는 인산 세상에 오곡이 나타나는 것을 알게 돼서 양이 오곡을 인간에게 갖다줬다는 것으로 생각했다. 사정이 밝히고 나서 상제가 화를 내어 양을 인간 세상에서 죽이라고 인간에게 양고기를 먹으라고 명령하였다.


그 다음 해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양의 사형을 집해한 곳에 먼저 싱싱한 푸른 풀이 생겼고 그 후에 어린양 생겼다. 그 때부터 양이 인간 세상에서 살아 있었고 그는 풀을 먹고 자신의 젖과 고기를 인간에게 사심 없이 드렸다. 인간은 양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으로 해마다 제사를 진해할 것이다.


인간은 옥황상제가 12 개의 동물을 골라서 인간에게 띠로 만들 것을 들어봐서 모두 양을 띠로 되는 것을 추천하였다. 옥황상제가 오곡 도난 사건에 대해 마음 좀 걸리지만 모든 사람의 의견을 반대할 수 없어서 양을 띠로 되는 것을 허락하였다.


‘양’의 재미있는 이야기

 

양이 인간과 같이 있는 시간은 오래되었고 인간과의 사이가 아주 친해서 많은 문자로 표현할만 한다. 그는 형태가 적당하고 공격도 없어서 늑대와 호랑이와 달리 인간에 대한 위험이 거의 없다는 이유로 가장 이상적인 사냥하는 목표였다.


또한 그는 풀을 먹고 젖, 고기, 모, 가죽 등을 산출할 뿐더러 그의 성격이 부드럽고 쉽게 순종하게 될 수 있어서 인간이 제일 먼저 기르는 동물이 되었다. 옛날 사람이 ‘말, 소, 양, 닭, 개, 돼지’를 육축이라고 부르고 양은 이 안에 앞자리에 위치해서 그는 사람 마음 속에 중요한 위치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양으로 인해 예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는 아주 일찍부터 인간 생활에 들어왔어서 초기 원시 문화 유적 중에서 생생하였다. 바위그림 상에 그의 모습이 남아 있고 도자기 상에 그의 아름다운 형태가 유지해 있다.


상나라의 사양방존, 삼양동뢰에서 한나라의 양형동불, 당나라의 삼채도양 심지어 현진 시대의 세화, 전지공예 등 민간예술로 양의 다양한 형태를 볼 수 있다. 양은 대대손손의 사람에게 즐거움 가져왔으며 인간 생활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양은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다. 한자 중의 ‘미’ 자는 ‘양’자와 ‘대’자로 합쳐서 만들었다. “양이 커야 아름답다.” 이것이 바로 옛날 사람의 심미주의의 표현이다.


양은 맛있는 음식을 대표할 수 있다. ‘어’자와 ‘양’자 합치면 바로 ‘선’자이다. 옛날 사람의 먹을 복이 있다는 것을 반영하여서 우리에게 침이 흘러 떨어지려고 한다.


한자 ‘양’은 문화를 낳아 기른다. 옛날 사람이 상형문자 창조법으로 ‘양’자를 만드는 것은 많은 곳에서 쓸 수 있기 때문이다. <한자대사전> 중에 ‘양’부수로 만든 한자가 204 개가 있다는 것을 보면 그는 옛날 사람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양의 영향은 인간 생활의 여러 방면에 삼투하였으며 우리에게 눈이 모자랄 정도로 만들었다.


양은 정의를 표현할 수 있다. 양은 옛날 사람의 마음 속에 정직과 아름다움의 이미지를 존재하여 시간 흘러서 양이 정의의 상징으로 보이게 되었다.


양은 깨끗한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그는 깨끗한 곳에서 거주하여 배 고프면 푸른 풀을 먹고, 목이 마르면 약수를 먹고, 세속에 물들지 않고 자신의 순결을 지키며 불결한 것을 멀리 떠난다.


양은 얌전하고 우아하지만 유감스러운 점 좀 있다. 즉 항쟁성이 적고 투쟁하는 마음이 모자라다. 그가 돼지와 다르게 죽여버리게 해도 작은 소리로 칠 뿐이다. 돼지는 도망할 수 없지만 크게 소리를 질러 힘껏 외치다.


돼지와 양 간의 이런 차이가 원인이 있을 것이다. 민간 전설을 의해서 돼지와 양은 인간에게 도살하게 되기 때문에 마음 안 들어서 상제와 논리할 생각이 나왔다. 양의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서 먼저 면담을 받았다. 상제가 말 듣고 웃으면서 “돼지 양은 원망하지 말자. 당신은 인간 식탁에 있는 요리다. 당신들이 평소에 할 일도 없고 인간에게 기르기만 하는데 당신들의 고기를 먹지 마라고 하면 당신들이 이 세상에 필요하겠니? 이해하셔야 지. 가서 돼지에게 전해줘라 태연하게 대처하고 다시 오지 말라” 라고 말했다.


양은 이 말씀을 듣고 슬픔을 느끼지만 다시 생각해봤는데 합리적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되돌아갔다. 도중에 비만한 돼지를 만나서 양은 상제의 말씀을 전해졌는데 돼지가 여전히 불공평을 느낀다. 양은 간신히 돼지를 집으로 끌어갔다. 그 날부터 양이 칼을 볼 때 숨을 쉴 뿐이고 돼지는 계속 명확하지 않아서 소리 크게 지른다.


고대 인도에서 양은 인간과 신선의 조상이라는 전설이 있는다고 애곱인이 숫양을 ‘신수’로 본다. 그리스 신화 중에 제우스가 아버지에게 버리고 나서 암양이 그를 키우게 되었다.


그리고 제우스의 화신도 뿔이 구불한 양이다. 아라비아 민간 이야기 중에 양은 아름답고 길상한 화신이다’ 호주는 “양을 타는 나라”라고 매년 8월14일은 호주의 양절이다. 그때는 전국의 모든 양치기는 양이 명절에 잘 보내라고 축하하고 양을 풀이 풍성한 지역으로 쫓아내서 양에게 맛이는 식사를 준비해줄 것이다.


양띠에 대한 오해


▲ © 중국신문주간
갑자에 의해서 10 천간과 12 지지 둘로 맞아서, 갑자부터 계해까지 총 60개의 조합이고 육십갑자라고 한다. 2015 을미년은 금양년이라는데 지난 금양년은 벌써 60년 전인 1955 년이다. 중국 총리 리커창, 배우 주윤발과 진도명 그리고 빌 게이츠도 이 때에 태어났다.

 


을미금양년에 태어난 사람은 공경한 양이며 부자된 운명이다. 모습이 단정하고 기백과 도량이 옹용화귀 재질이 있지만 아주 겸손하고 언행을 삼가는다. 오만하지 않고 칼끝이 노출되지 않는다. 어릴 때는 부지런하고 또한 큰 곤난을 당하지 않고 만년에 재산도 많고 자손도 많고 집안을 일으키다는 팔자이다.


하지만, 띠 문화의 영향 때문이라 모르겠지만 중국인 중에 양 띠해에 대한 편견을 존재하는 사람도 있다. 양띠 해에 아기를 태어나는 게 운명이 좋지 않다고 생각해서 말띠 해 끝나기 전에 임산부가 많아졌다. 심지어 시간을 앞당겨서 제왕절개 수술을 받는 사람은 종종 있다. 이 행동은 과학 측면에 근거가 없다고 전통 문화 측면에도 전혀 터무니없는 말이다.


청나라 함풍 연간 전에 ‘양 10 마리 중에 9 마리가 불완전하다’ 라는 말이 없는데 양은 오히려 안정하고 재부의 상징이다. 난세말년의 근현대에 정치적인 필요성 때문에 ‘양 10 마리 중에 9 마리가 불완전하다’ 라는 말로 정치 상의 적을 공격해서 이 말이 점차 민간에 유전하였다.


첫째, ‘양 10 마리 중에 9 마리가 불완전하다’ 라는 말은 자희태후에 대해 공격한 정치전략이다.


자희태후(도광 15 년, 즉 1835 년 생)는 양띠이다. 그를 전보시키기 위해서 민간에 안 좋다는 말을 유전하였고 그를 정신적인 측면에 공격한다. 계다가 증국번, 이홍장 모두 양띠였고 청나라 말때 이치(吏治)의 부패 때문에 백성들이 양띠 관원 몇명을 미워서 이런 말로 청나라를 공격하였다.


둘째, ‘양 10 마리 중에 9 마리가 불완전하다’ 는 원세개의 황실 회복하는 것을 반대하기 위한 필요성이다.
원세개는 양띠이며 음력 8 월 15 일에 태어났다. 국민당은 원세개의 군주제도를 거꾸러뜨리기 위해서 8월에 태어난 양띠가 도살하게 된다고 욕한다.


셋째, ‘양 10 마리 중에 9 마리가 불완전하다’ 는 문화혁명 중에 ‘비림비공’에 대한 필요성


린뱌오는 양띠 음력 11 월 3 일에 태어난 사람이다. 9.13 사건 이후에 전국에서 ‘비린비공’운동을 시작하였고 린뱌오를 공격하기 위해서 ‘양 10 마리 중에 9 마리가 불완전하다’ 라는 말이 다시 유행하였다.


겨울이 지나서 봄이 다가왔다. 12 년 끊임없이 순환하다. 긴긴 세월이 지나가다. 세월이 길지 않으며 인생도 고생하고 짧다. 을미년 우리가 말의 송덕을 생각하고 양의 착함을 발전해야 한다. 두터운 덕으로 물건을 받고 자강불식. 아름다운 미래를 추구하고 공동한 마음으로 열심히 진취한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보내기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온라인팀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