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학교, 중국교사 초빙 후
- 영국매체 BBC가 올해 여름 실험을 했다. 영국의 한 ‘일류’ 중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 50명을 선발해 ‘중국학교’를 만들고 중국교사 5명을 초빙해 한 달 동안 ‘중국식 교육을 진행한 것. 이에 따라 ‘중국식 교육’에 관한 대규모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 온라인팀 news@inewschina.co.kr | 2015-10-01 14:03:21
[기자/저우펑팅] 1997년 중국 시안(西安)에서 교직생활 10년째인 양쥔(杨军)은 시베이(西北)대학 직장인대학원 과정을 순조롭게 이수하고 영국에서 깊이 연구할 기회까지 얻었다. 영국 주류매체에서 중국교사와 중국식 교육이 언급되며 전국민의 열띈 토론을 일으키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자신이 직접 체험한 중국식과 서양식 두 종류의 교육방식이 10년후 상충되리라고는 더더욱 생각하지 못했다. 올해 8월 BBC2 채널에서 ‘중국식 교육’에 대한 BBC의 3부작 다큐멘터리 <우리 아이들, 충분히 강인한가? >가 방송되자마자 중국과 영국 두 나라에서 두 가지 교육방식에 대한 대국민토론이 이어졌다.
다큐멘터리는 영국 런던대학 교육대학과 BBC의 공동연구프로젝트 ‘중국화된 영국학교’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런던대학 교육대학은 세계 QS(주: 영국의 QS 순위는 참여기관 수가 가장 많고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가장 넓은 순위이다)교육전공 1위 대학으로 최근 중국식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국제적인 종합능력평가시스템에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현상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팀은 영국 햄프셔의 보헌트(Bohunt)중학교 3학년 학생 50명을 선발해 ‘중국학교’를 구성하고 중국교사 5명을 초빙해 한달 동안 ‘중국식 수업’을 진행하며 그 전(全)과정을 모두 카메라에 담았다.
까다로운 선발과정을 거친 중국교사
제작팀이 설정한 엄격한 기준에 따르면 선발된 교사들은 5년 이상 영문법, 수학, 과학, 사회과학 수업경력이 있으며 영어로 모든 교육이 가능해야 한다. 양쥔 역시 운 좋게 이 다섯 명의 교사에 뽑혔다.
영국 PGCE 과정이 끝난 후 양쥔은 영국에 남아 영국 중학교 중 몇 안 되는 화교학교의 교사로 들어갔다. PGCE 과정, Postgraduate Certificate in Education 은 영국 초·중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 반드시 수료해야 하는 과정으로 중국의 교사자격증에 해당한다.
BBC의 제작자가 양쥔을 찾았을 때 그녀는 현지의 한 여자문법학교에서 10년 가까이 물리, 생물, 화학을 가르치고 있었다. 제작팀이 유일하게 우려한 것은 긴 시간 동안 영국식 수업훈련을 받은 양쥔이 정통적인 중국식 수업방식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양쥔은 1960년대에 태어나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온전히 전통 중국식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그녀는 “중국교사 방식으로 수업하는 것은 천성.”이라 말했다. 후반부 협력에서 그녀는 행동으로 ‘뼈 속까지 중국인’임을 보여주었다.
2014년 12월 말 네차례의 까다로운 면접과 인성검사를 거쳐 난징(南京)외국어학교 특급영어교사 리아이윈(李爱云)과 헝저우(杭州)외국어학교 케임브리지고등학교 교사 조우하이롄(邹海连)이 최종적으로 BBC 제작팀이 보낸 초대장을 받아 리아이윈은 ‘중국학교’의 교장, 조우하이롄은 담임을 받았다. 나머지 세 명은 모두 영국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중국교사들로 과학교사 양쥔과 중국어, 체육교사였다. 면접에서는 그들이 다큐멘터리 제작과정 중에는 전통적인 중국의 방식으로 수업해야 함을 반복해서 강조되었다.
중국에서 조우하이롄은 ‘서양식’ 수업방식을 따르고 있었다. 그는 항저우 외국어학교에서 가르친 지 3년째 되던 해에 케임브리지 고등부에 들어가 소규모 반 수학수업에서 영어로 IGCSEA와 A-Level과정을 가르쳤다. 두 반 모두 영국식 교육시스템 하의 교과과정이었다. 이러한 고등학교 학습을 통해 중국학생들은 영국대학으로 직접 진학할 수 있다.
중국 일류고등학교에서 온 이 두 명의 교사 모두 보헌트가 영국의 명문고등학교라고 고지 받았다. 프로젝트의 설정에 따라 50명의 중국학교 학생들은 한 달 후 수학, 과학, 중국어시험을 통해 보헌트 9학년의 다른 학생들과 성적을 비교함으로써 중국식교육의 독특한 점과 영국의 교육현장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연구했다.
그러나 프로그램 제작을 시작하고 보니 보헌트중학교는 그들이 잘 아는 ‘명문’과는 거리가 멀었고 자신만만했던 중국교사들은 시작하자마자 큰 저항에 부딪쳤다. 상상했던 우등생과 있는 힘껏 협조하는 학교와 학부모는 없었다. 현실의 아이들은 수업 중에 방약무인 격으로 B-box나 화장을 하고 물을 끓여 차를 우리고 종이비행기를 날리는 ‘3류’ 중학생이었다. 산만한 수업태도와 무질서한 행동에 교사들은 허무함을 느꼈고 당초 그들이 BBC 제작진의 까다로운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했던 노력과도 비례하지 않았다.
온화한 기질의 조우하이롄조차 녹화 중에 “이렇게 엉망인 학생들은 처음”이라며 수 없이 성토할 정도였다. 실험시작 반 달 후 그는 “자는 척 하는 아이는 절대 못 깨워요”, “온 힘을 다 해봤지만 더 이상은 못하겠어요”라는 말로 실망감과 유감을 표현했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
- 경제
- 사회
-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