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시리즈—경극

온라인팀 news@inewschina.co.kr | 2015-02-17 10:29:04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중국신문주간 온라인팀] '베이징 오페라(Peking opera)'라는 이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경극(京剧)은 정작 베이징에서 처음 생겨난 연극이 아니다. 경극은 1790년, 당시 남방의 안후이성(安徽省)을 기반으로 한 극단이 우연히 수도 베이징에 진입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19세기 중엽에 들어서면서 당시 여타 지방극인 휘극(徽剧), 한극(汉剧), 진강(秦腔), 곤곡(昆曲), 방자(梆子), 익양강(弋阳腔) 등의 예술적 장점을 충실히 흡수하고 황실의 확고한 지원을 얻게 됨에 따라 마침내 전국적인 명성을 지닌 대표적인 전통극으로 자리 잡게 된다.


2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경극은 <군영회(群英会)>, <사랑탐모(四郞探母)>, <타어살가(打渔杀家)>, <패왕별희(覇王别姬)> 등 1,000개가 넘는 레퍼토리를 갖추고 있을 정도로 전국적으로 유행하였다. 이처럼 경극이 유행할 수 있었던 것은 기존 희곡의 단조롭고 식상한 음악과 귀족적 취향에 의존한 느리고 구태의연한 연출 형식을 과감히 버리고 평민들에게도 다가갈 수 있는 소박하고 역동적인 양식으로 변화를 주었기 때문이었다.


먼저 연출 양식을 살펴보면, 경극은 '창(唱)', '염(念)', '주(做)', '타(打)' 네 가지가 연출의 핵심이 된다. '창'은 노래를 의미하며, 한국의 판소리처럼 독특한 창법을 익혀 전달한다. '염'은 대사를 의미하고, 대사를 읊는 데에는 일정한 리듬이 있다. '주'는 동작과 표현법을 이르는 말로 배우들은 역할에 맞는 연기를 통해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 '타'는 무술 동작으로, 격렬하고 화려한 무술 동작을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관객의 흥미를 이끌어 낸다.이처럼 해당 연출에 필요한 요소를 충분히 훈련하고 익혀야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공연할 수 있는 만큼 경극에는 특별한 전수과정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음악 양식에 있어서는 베이징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흥한 '서피(西皮)'와 '이황(二黄)'의 곡조가 음악의 주축이 되고, '얼후(二胡)'라고 불리는 호금(胡琴)과 나고(锣鼓) 등의 악기를 반주에 사용하여 극의 분위기를 돋운다.


음악적으로 특정한 성강(声腔)을 공통 요소로 하는 무리를 강계(腔系)라고 하는데, 노래극인 중국의 희곡에서는 음악이 성패를 가늠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청대의 지방희는 지역마다 독특한 음악의 기초 위에 구축되었으며, 청대 지방희의 주요 성강(声腔) 계통으로는 명대의 익양강(弋阳腔)을 기원으로 하는 계통인 고강강계(高腔腔系), 명대의 곤산강(昆山腔)이 널리 유행되면서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들을 흡수하고 변화한 곤강강계(昆腔腔系), 경목방자(硬木梆子-딱따기 류)로 박자를 치며 협서(陕西), 산서(山西)로부터 발전하기 시작한 방자강계(梆子腔系), 방자강(梆子腔)에서 유래한 서피강(西皮腔)과 남방에서 발생한 이황강(二簧腔)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피황강계(皮簧腔系)를 들 수 있는데, 이것들 중 방자강계와 피황강계가 가장 널리 유통되었다.

 


둘 이상의 성강이 융합되면 지방대희(地方大戏)가 형성되는데, 경극(京剧)은 북경에서 만들어진 지방대희이다. 청 건륭 시기인 1790년 경부터 안휘(安徽)의 희반(戏班)들이 북경으로 진출하였는데, 이것들이 호북(湖北)에서 온 희반들과 합작하면서 서로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다시 곤강(昆腔)과 진강(秦腔)의 곡조와 공연 방법을 받아들이고 민간의 곡조를 흡수하면서 점차 변화 발전하여 경극이 만들어졌다. 경극은 음악적으로는 판강체(板腔体)에 속하는데, 창강(唱腔)은 안휘지역의 이황과 호북 지역의 서피를 위주로 하기 때문에 이황과 서피를 합하여 부르는 말인 '피황(皮簧)'이 때로는 경극을 지칭한 말로도 쓰인다.

 


대체적으로 서피는 활발·유쾌하거나 격앙·웅장한 감정을 표현하는데 적합하고, 이황은 처량하거나 침울한 감정의 표현에 적합하다. 반주 악기로는 호금(胡琴), 이호(二胡), 남현자(南弦子), 월금(月琴), 적(笛), 쇄납(唢吶), 해적(海笛) 등의 관현악기와 고(鼓), 판(板), 대라(大锣), 소라(铙钹), 당고(堂鼓), 성(星) 등의 타악기가 쓰인다. 공연에 있어서는 노래와 춤을 위주로 하면서 무술기교를 가미하는데, 리듬감이 강하고 높은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대사에 있어서도 풍부한 음악성을 갖추고 있어서 '노래·대사·동작·무술(唱念做打)'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예술체계이다. 인물의 복장은 기본적으로 명대의 제도를 따르고 있는데, 색상이 화려하고 무늬가 현란하며, 인물의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정해진 복식이 있다.


경극에는 여느 지방극과 마찬가지로 등장인물의 특징과 개성을 표현하는 '검보(脸谱)'라는 양식화된 분장법이 있다. 배역은 성별, 나이, 성격 등에 따라 생(生), 단(旦), 정(净), 추(丑)의 넷으로 대분된다. 생은 남성인데, 중년 이상의 남자는 노생(老生), 청년 남자는 소생(小生), 남성 무인은 무생(武生)으로 세분하여 불렀다. 단은 여성인데, 양가집 규수는 정단(正旦), 가난한 집의 소녀는 화단(花旦), 중년 이상의 부인은 노단(老旦), 여성 무인은 무단(武旦), 익살스럽거나 사악한 부녀는 채단(彩旦)으로 불렀다. 정(화검(花脸)이라고도 함)은 생김새나 성격이 특이한 남성 각색인데, 무예가 뛰어난 경우에는 무정(武净)이라고 했다. 추(소화검(小花脸)이라고도 함)는 익살스럽거나 사악한 각색인데, 무예가 빼어난 경우에는 무추(武丑)라고 했다.


화장은 가면을 쓰는 것과 얼굴에 직접 그리는 도면(涂面)이 있는데, 대부분 도면을 이용한다. 채묵(彩墨)을 약간만 칠하여 인물의 단정하고 준수한 면모를 부각시키는 화장을 준반(俊扮) 혹은 소면(素面), 결면(洁面)이라고 부르는데, 생과 단의 분장에 쓰인다. 극중 인물의 나이, 문무(文武)의 차이, 생활환경에 따라 색깔과 화법을 달리한다. 청장년의 경우 미간, 눈언저리, 양쪽 뺨에 붉은 색을 짙게 칠하고, 노년은 엷게 한다. 체격이 건장하고 삶이 풍족하면 짙게 하며, 병약하거나 가난하면 옅게 한다. 눈썹과 눈초리는 위로 추켜세워 인물의 준수함을 부각시키고, 눈의 감정 표현을 돕는다. 흰색은 음험함, 붉은색은 충성스러움, 보라색은 굳셈, 노란색은 용감함, 검은색을 강직함을 상징한다. 검보는 문인보다는 무인에게, 정상인보다는 비정상적인 인물에게 주로 행하여진다. 인물의 분장에 쓰이는 옷가지나 기타 기물은 항두(行头)라고 총칭하는데, 이것 역시 정식화되어 있다. 인물의 신분이나 성격에 따라 수염의 모양이 정식화되어 있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무대에서 쓰이는 소도구는 체말(砌末)이라고 한다.


경극의 화려한 의상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이다. 배역에 따라 정해진 의상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위상을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연극적 효과를 배가시킨다. 또한 경극에서는 이른바 체말(砌末)이라 불리는 특별한 무대 도구와 소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도구의 활용은 경극의 무대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장치로 활용된다.
중국을 대표하는 지방극인 경극은 베이징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이래 서구의 문물이 쇄도하는 가운데서도 그 영향력을 잃지 않았다. 오히려 20세기 접어들어 경극은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며 불멸의 배우들을 탄생시켰다. 바로 여성 배역에 특출한 능력을 보이며 '4대 명단(四大名旦)'이라 칭송되었던 네 명의 남자 배우들로, 그들은 독창적인 연기스타일로 각자의 계보를 형성하였다.

 


호소력 짙은 창법에 창조적인 표현 연기가 일품이었던 메이란팡(梅兰芳, 1894~1961), 부드러우면서 기품있는 창법을 잘 운용함으로써 비극적인 인물 표현에 뛰어났던 청옌추(程砚秋, 1904~1958), 폭넓은 창법으로 영웅적 인물이나 협녀, 열녀 등의 연기에 능했던 상샤오윈(尚小云, 1900~1976), 다양하고 활달한 창법을 무기로 여성 인물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던 쉰후이성(荀慧生, 1900~1968)이 그들이다. 이들 '4대 명단' 외에도 마롄량(马连良), 저우신팡(周信芳), 두진팡(杜近芳) 등은 중국 경극사를 대표하는 배우들이다. 이들의 연기 세계는 후세에 계승되어 특정한 일파를형성하였고, 그들만의 고유한 레퍼토리를 가지고 전수되었다.

 


무대에는 별다른 장치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나 공간의 전환이 대단히 자유롭다. 무대는 삼면이 개방되고 반원형으로 돌출되었기 때문에, 관중과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가 가까우며, 심지어는 관중이 무대에 동참하는 경우도 있다. 경극 감상은 배우의 분장과 노래와 춤을 감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우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데, 배우의 연기는 간략하고 상징적이어서 '재현(再现)'이 아닌 '표현(表现)'이며 '사실(写实)'이 아닌 '사의(写意)'이고, 또한 분장에서 동작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정식화되어 있기 때문에, 작품은 관중의 이해와 재창조를 통해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경극은 사회주의 시기에 접어들면서 많은변화를 겪었는데, 이때 현대 경극이란 이름으로 혁명 경극이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것이 문화대혁명 시기에 장칭에 의해 주도된 '양판희'이다. '양판희'는 혁명모범극을 의미하는 말로 원래 1960년대 초부터 벌어졌던 경극의 현대화 과정에서 제시되어 문화대혁명 시기에 확정된 모범극을 일컫는다. 중국공산당의 혁명과정과 영웅담을 주 내용으로 하고 투쟁성을 고취하기 위한 연극적 장치와 과장된 표현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듯 경극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전통극의 맥을 이어가면서 여전히 중국을 대표하는 지방극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베이징경극원(北京京剧院)을 정점으로 전국적으로 지역 경극원이 설립되어 있고, 중앙희곡학원(中央戏曲学院) 등의 예술학교에서는 경극을 지망하는 많은 젊은 배우들이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있다. 중국 정부 또한 국가 문화사업의 하나로 경극의 대중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경극의 세계화에도 적극적으로 앞장서고 있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보내기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온라인팀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