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경계 극복하듯 스스로 경계 넘어서며 성장한다 느껴

-부천지역 중고생 30명 이끌고 중국 가는 임학림 선생 인터뷰-
김지영 bnu0827@gmail.com | 2018-09-21 10:17:24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 ©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글/ 동북아신문 취재팀] 사단법인 동북아평화연대(이사장 직무대행 신명철)와 부천교육지원청(교육장 맹성호)이 힘을 합쳐 올해로 다섯 번째 부천지역 중고등학생들과 중국의 조선족학교 학생들의 국제교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원미중학교(교장 김혜정)를 주최기관으로 부천지역에서 선발된 중고등학생 30명은 오는 9월 12일부터 17일까지 연변조선족자치주의 도문 연길 용정 방문, 백두산 등정, 길림성 집안의 장수왕릉 광개토대왕비 환도산성 국내성 등 역사탐방, 길림조선족중학교와의 국제교류 등 다양한 활동을 5박6일 동안 했다. 

 

햇살나눔다문화국제평화교류 ‘경계에서 꿈을 찾다’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올해 ‘부천통통통청소년평화꿈의학교’라는 프로그램이 더해져 참가 학생들에게 평화교육, 세계시민교육의 기회가 주어졌다. 

 

이 프로그램의 부천교육지원청 측 실무 책임자로서 부천지역 중고등학생 30명을 이끌고 중국을 방문하는 임학림 선생을 지난 9월 8일 학생들의 사전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부천교육지원청에서 만났다. 

 

임 선생은 시민운동가로서 마을교육 시민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가 부천교육청에 특채되어 중등교육지원과에서 마을교육공동체담당 교육복지코디네이터로 일하고 있다. 

 

다음은 임학림 선생과의 일문일답. 

 

▲ ©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부천교육지원청에서 담당하고 있는 일은? 

 

“부천 관내에 취약계층 아이들이 많은 학교를 지원하는 사업을 실무 총괄하며 교육복지 햇살나눔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2006년부터 부천교육청에서 이 일을 했으니까 올해로 13년이 됐다.” 

 

사업을 하면서 가지는 보람은? 

 

“햇살나눔 사업은 국가정책사업으로 김대중 정부에서 시작돼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교육부에서 정책사업 하나가 꾸준히 계속되는 사례는 많지 않다. 우리 사회 정의를 위해 필요한 사업이다. 국가의 헌법에도 타고난 가정의 배경이나 부모들에 관계없이 모든 아이들이 평등하고 공평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보장된다. 

 

강남쪽 아이들 강북쪽 아이들 교육격차가 벌어지는 상황인데 지역이나 타고난 배경에 상관없이 예산을 지원해서 격차를 해소 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다. 그 목표를 위해 격차해소와 아이들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양한 지원을 하는 거다. 사업이 주는 의미와 철학의 내용을 통해서 아이들이 성장하고 아이들의 미래와 꿈에 영향을 많이 주고 있고, 그걸 통해 아이들이 성장하는 것이 보일 때 가장 보람을 느끼게 된다.” 

 

이번 프로그램을 간략히 설명한다면? 

 

“햇살나눔 다문화 국제평화교류 ‘경계에서 꿈을 찾다’라는 프로그램에 부천통통통청소년평화꿈의학교 프로그램이 더해진 거다. 길다. ‘햇살나눔 국제교류, 경계에서 꿈을 찾다’라고 간단하게 부른다.  

 

프로그램은 국제교류를 위해 중국을 5박 6일 방문할 뿐만 아니라 그를 위한 사전준비들, 돌아와서의 보고활동이 있다. 올해 같은 경우 기존의 경우와 다른 거는 사전준비를 기존에 3회 4회 했다면 작년부터는 예산의 부족함을 해소하고 교육의 내용에 평화교육이나 민주시민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덧붙여 완성도를 높여가는 과정에서 꿈의 학교 프로그램을 덧붙였다. 

 

꿈의학교 사업은 교육중심으로 나가고 교류활동은 중국에 다녀와서는 별도로 보고회를 갖는 것 같은 그런 활동들이 이어지는 거다. 해마다 새로운 사업에 대한 고민이나 내용들이 프로그램 안에 담기게 된다.” 


참가자 선발과정은? 

 

“단위 학교에서 추천을 받아서 인터뷰를 통해서 아이들을 선발한다. 교육청에서 일괄적으로 부천 관내 중고등학교에 공문을 보내서 이 프로그램에 적합한 아이들을 추천받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위원들이 심사를 해서 선발한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글로벌 시대에 맞는 인재육성, 참여하는 아이들의 학교 적응력 향상, 미래 통일시대 아이들의 동북아 평화에 대해 인식 확보, 문화다양성에 대한 감수성 향상 등이 프로그램의 목표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느낀 점은? 

 

“해마다 갔다 오고 난 후 다음해 프로그램에 대해 퀄리티를 어떻게 높일지, 프로그램을 어떻게 성숙시킬지 고민한다. 우리는 이 프로그램 자체가 완성형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해를 거듭할수록 계속 성장하는 프로그램, 처음에 교류활동으로 갔다 왔다면 그 다음에는 마을공동체를 보기 위해 수남촌이 붙어줘 홈스테이를 하게 되고, 참여했던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가게 되면 스태프로 참여시키는 등 하나의 유기체 같이 성장하는 프로그램이다. 

 

다녀오고 나서 프로그램의 변화도 느끼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중국의 변화가 크게 느껴진다. 중국이 성장하고 중국 공산당의 여러 가지 정책의 변화나 인식들의 변화를 많이 느끼게 된다.” 

 

중국이 어떻게 변화했다 느끼는가? 

 

“과거에 우리는 황사나 미세먼지의 원인이 중국이라고 알고 있었다. 현재도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 답사를 가서 놀랐던 게 중국의 오토바이가 모두 전기 오토바이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매연이 없다. 또 각 도시별로 도시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살려 도시를 특성화 시키는 것, 집안이 몇 년 전에 갔다 왔던 집안이 아니었다. 

 

집안이 고구려 역사유적을 유네스코에 등재하고 역사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해서 도시재생사업처럼 모든 분위기가 다 바뀌었다. 도시가 어떻게 그렇게 깨끗해 질 수 있는지 놀랐다. 사람들도 엄청 깨끗해졌다. 사람들의 인식도 굉장히 달라졌다. 휴지 하나 버리면 벌금을 15만원 내니까 순식간에 바뀌었다. 매하구도 생태도시로 지정이 되고 나니까 한 달 만에 도시의 모든 도로바닥을 다 바꿔 깔았다. 자전거도 타지만 오토바이는 전기 오토바이, 차도 전기차, 이런 식으로 다 바꿔가는 걸 보고 깜짝 놀랐다. 국가적으로 그렇기도 하지만 도시도 깨끗해지고 사람의 인식이 많이 달라지고 우리보다 앞서가는 노력이 있는 것 같다. 

 

북경도 마찬가지로 옛날 같으면 오토바이 달리고 땍땍 거리는 소음이 많았을 텐데 전차가 움직이고 전기 오토바이를 다 타고 다니니까 갑자기 오토바이 소리가 안 들리는 거다. 도시가 조용해지고 눈에 띄게 변화했다. 

 

시진핑 주석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정책뿐만 아니라 중국 공산당 중앙판공청이 마련해 대중에게 알리고 있는 부강(富強), 민주(民主), 문명(文明), 해화(和諧), 자유(自由), 평등(平等), 공정(公正), 법치(法治), 애국(愛國), 경업(敬業), 성신(誠信), 우선(友善) 등 12개의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이 전국적으로 실현될 날이 머지 않았구나 느끼게 만든다. 놀라울 정도의 변화다. 중국 사람들의 시 주석에 대한 신뢰와 존경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고 그 중 첫 번째로 부패척결에 대한 기대가 굉장히 크다.” 

 

아이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하는가?

 

“일단은 본인이 꿈을 꾸게 되는 거다. 희망을 갖게 된다. 진로에 대해서, 무얼 해야 할지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친구들과의 관계맺음도 향상된다. 학교 교사들과 얘기해 보면 프로그램을 다녀온 아이들 학교생활이 좋아졌다고 말한다. 특히 중국동포 아이들이 1차적으로 중국을 다녀오고 난 다음에 본인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이 약점

이 아니라 강점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는 것 같다.” 

 

역사인식도 변화하는가? 

 

“독립운동의 역사가 한국 안에는 없다. 해외에, 특히 중국에 많다. 안중근 의사든 이상설 선생이나 윤동주나 모든 게 그쪽에 다 있지 않나. 갔다 오고 난 다음에 역사에 대한 인식도 그렇지만 중국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지는 것 같다.” 

 

▲ ©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도 성장한다고 느끼는가?

 

 

“매년 이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만나면서 배움이 많아진다. 내가 가지고 있는 보이지 않는 경계가 있다. 아이들이 경계를 극복하듯이 나도 같이 경계를 극복해 나간다. 아이들 변화에 따라서 나를 되돌아보게 된다. 아이들 위한 활동을 제대로 잘하기 위해서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가 고민하면 교육청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다양한 활동에서 극복해야 하거나 도전해야 하는 것이 많다. 되든 안 되든 도전을 시도하고 극복하려 노력한다. 아이들 상황이나 다를 바 없다. 똑같다. 그래서 아이들과 같이 성장한다는 것이 당연하다는 느낌이다.” 

 

주최하는 학교의 반응은? 

 

“장단점이 있지만 장점이 많아지고 있다. 처음에는 달랐지만 지금은 학교별로 이 국제교류 사업을 맡아서 하고 싶다는 학교들이 자진해서 나오고 있다. 전에는 이 사업을 가져왔다가 안전의 문제 등 어려움을 겪을 거라고 생각해서 꺼리는 학교들이 있었다. 지금은 사업이 어느 정도 매뉴얼화 되고, 사업을 했던 학교들의 인식이나 반응이 좋아지고 해서 굉장히 달라졌다. 

 

작년 같은 경우 아이들이 처음 시작해서 마무리될 때까지 거의 300시간을 만났다. 프로그램 하나 가지고 300시간을 만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그만큼 아이들에 대한 우리 요구가 크고, 아이들도 프로그램에 깊이 빠지니까 본인의 진로나 학교생활뿐 아니라 앞으로의 삶에 있어서 버팀목이 되고 아이의 삶의 터닝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다.” 

 

프로그램의 개선점이 있다면? 

 

“끊임없이 고민하는 점이다. 제도권 안에서 이 프로그램 진행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프로그램이 발전하고 진화했으면 하는 고민이 늘 있다. 

 

내년에는 아이들을 중국팀 러시아팀 일본팀 세조로 지역을 나눠서 동북아 친구들이 동북아에 있는 나라들에 대한 활동을 각각 하고 다시 모여서 평화의 문제, 이런저런 활동을 함께 펼쳐보는 거로 가고 싶은 욕심이 있다. 내년 예산 신청을 이미 했다. 시의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문제이다. 

 

인원이 30명 30명 30명은 어려울 것 같고 10명이나 15명이 한 조가 되어 세 나라를 갔다 와서 발표를 하는 거다. 잘됐으면 좋겠지만 아직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보내기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김지영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