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문주간 온라인팀] 토가족은 ‘흙에서 나서 성장한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송나라시대에 ‘토정 土丁’, ‘토민 土民’, ‘토병 土兵’ 등으로 불리었으나 한민족이 다수 이주해오자 ‘토가족 土家族’이란 민족명칭을 갖게 되었다. 토가족은 현지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중국의 후난성(湖南省)과 후베이성(湖北省), 쓰촨성(四川省), 구이저우성(贵州省)에 분포하는 소수민족으로 토가족이라고 표기한다. 중국 티베트어계 티베트·미얀마어족에 속하는 투가어를 사용하는데, 대부분의 주민들이 중국표준어를 쓰고 문자는 없으며 한문(汉字)을 통용한다. 중국 파(巴)나라가 진나라에 멸망당한 뒤 파인(巴人)들이 묘만과 통혼, 융합하여 형성된 민족이다.
토가족은 춤과 노래를 즐긴다. 전통춤으로 ‘모고사’라는 것이 있는데 모고사의 의미는 토가족 언어로 ‘할범(할아버지)’이다. 이 할범은 토가족의 정신적 지도자로 고대에 황무지를 개간하고 사냥을 하던 그들의 선조를 가리킨다. 토가족은 할범을 잊지 않고 그를 추앙하기 위해 행사가 있을 때마다 이 전통 춤을 추고 있다. 춤을 추기 위해서는 한조에 15-16명이 필요하다. 춤을 추는 도안은 토가족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내용이 해학적이며 재미있다. 춤의 내용은 보통 토가족의 일상적인 생활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형식은 상당히 자유롭고 내용의 제한은 받지 않고 있다. 이 춤은 규모가 큰 행사나 명절과 기념일에는 6일 동안 밤낮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토가족의 전통 혼사 풍습:
프로포즈: 매년 3월 19일은 여자가 청혼을 하는 날로서 여자가 자기 마음에 드는 남자가 있으면 남자의 발등을 3번 찍는다. 남자도 마음에 들면 결혼을 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여자의 발 뒤꿈치를 3번 찬다. 하지만 결혼을 하지 않을 때는 남자가 여자 집에서 3년간 머슴살이를 해야 하고 여자는 3년 동안 결혼을 할 수가 없다. 머슴을 살지 않을려면 소 한마리를 대신 주면 된다.
곡가(哭嫁): 토가족의 풍습에 의하면 토사 왕은 토가의 최고 수령이다. 오래전 시집가기 전날 밤 토가족 여성은 토사왕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몸을 바치게 되어 있었다. 이에 토가족 사람들이 못마땅 하게 생각되어 즐거워야 할 혼례에 이와 같이 곡을 해 몇날 며칠을 울어 눈이 퉁퉁 붓게만들고 되도록 추하게 보였는데 이는 토사왕의 관심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편이라고 한다.
토가족 예비신부는 신랑으로부터 혼인일을 통보 받으면, 10일에서 보름 전 문밖출입을 삼가고, 원두막 같은 집을 지어 그 안에 탁자를 설치하고 차 10잔을 준비해놓는다. 그런 후 절친한 여성 9명이 함께 둘러앉아 이른바 곡가(哭嫁)를 시작한다.
토가족 예비신부가 중간에 앉아 ‘포석 包席’이라하고, 우측에 앉은 여인을 ‘안석 安席’, 좌측을 ‘수석 收席’이라한다. 예비신부가 먼저 곡을 시작하고, ‘안석’녀가 이어받아 곡을 하는 식으로 주야로 곡을 이어받아 한다.
곡에도 순서가 있는데, 모녀, 고모와 조카, 자매, 외숙모, 시누이, 올케, 매파 순이다. 짧게는 3-5일, 길게는 보름까지 곡을 이어 나간다.
내용은 모녀지간의 정, 이별의 아픔, 길러준 은혜, 오빠, 형수에게 양친의 노후 부탁, 여성의 처세등이다.
곡가는 주로 즉석에서 임의대로 만들어져 그때마다 그 내용은 다소 차이를 보일수 있다. 그러나 고정된 가사도 있어, ‘비고인 比古人’, ‘공방곡 共房哭’, ‘십화 十画’, ‘십수 十绣’, ‘십이월 十二月’ 등이 있다.
곡을 할때는 ‘옹 嗡’, ‘만 蛮’, ‘아하하 啊呀呀’ 등의 소리로 곡을 하게 된다.
토가족의 전통명절:
전통명절을 매우 중요시 여기는 토가족은 일년 내내 거의 매월 특정한 명절이 있으며 많은 흥미진진한 민속행사를 즐긴다. 즉, 연초부터 연말까지 매월 명절이라고 보면 된다. 음력 섣달의 설(궈간녠, 过赶年), 원소절(元宵节), 2월의 서르(社日), 화차오제(花朝节), 3월의 한식절(寒食节), 청명절(淸明节), 4월 초여드레 뉴왕제(牛王节), 5월 단오절(端午节), 6월 초엿새 샹왕제(向王节), 7월 치챠오제(乞巧节, 칠월칠석), 뉘얼후이(女儿会), 웨반제(月半节), 8월15일 중추절(中秋节), 9월 초아흐레 중양절(重阳节), 10월 초하루의 한이제(寒衣节) 등이 중요한 명절이다.
궈간녠(过赶年)
많은 민속명절 중 가장 특색 있는 명절인 ‘궈간녠(过赶年)’은 현재 일부 지역에만 풍습이 남아있다. 궈간녠은 써우이녠(蓑衣年)이라고도 부른다. 즉 섣달 29일 설을 쇠는 것은 한족이 하루 전에 설을 쇠기 때문에 불리는 이름이다. 이 날 집집마다 돼지를 잡고 녹두가루를 만들고 미주 또는 짜쥬(咂酒, 토가족이 찹쌀 또는 옥수수, 수수, 밀 등으로 빚은 달콤한 술)를 끓인다. 마찬가지로 섣달 30일날 설음식을 먹고 밤을 새기 때문에 토가족은 2년을 쇤다는 말이 있다.
2월 초 이튿날(二月初二)
토지 보살의 생일, 이날은 토지신에게 술과 경단을 올린다. 집집마다 거처에 모두 토지신을 모시는 사당이 있어 당팡투디(当坊土地)라고도 부른다. 이날 사람들은 날씨에 관심을 기울인다.
청명절(淸明节)
성묘를 하고 과칭(挂青, 묘지에 흰 종이를 거는 것)을 한다. 명절 당일 일반 가정에서는 모두 돼지머리고기를 먹는데 ‘清明酒醉,猪脑壳有味(청명절에 술을 마실 때 돼지머리를 곁들여 먹으면 맛있다)’라는 말이 있다.
뉴왕제(牛王节)
4월18일은 뉴왕 보살의 생일이라고 하여 밭갈이 소를 하루 쉬게 하고 소에게 누런 콩 같은 좋은 여물을 먹이고 외양간을 청소하며 닭, 돼지를 잡아 선조에게 제사를 지내야 한다.
류웨류(六月六)
류웨류(六月六)는 사이룽파오(晒龙袍), 츠신제(吃新节) 또는 창신제(常新节)라고도 부른다. 토가인들은 이 날 집 안의 이불과 옷들을 꺼내다가 햇볕에 말린다. 이 날을 창신제라고도 부르는 것은 과일과 곡물이 익기 시작해 먹을 수 있어 창신(常新, 햇 것을 맛보다)이라고 하는 것이며 바오구쥬(包谷酒, 옥수수 술)을 신에게 바친다.
뉘얼후이(女儿会)
허펑현(鹤峰县) 토가족은 웨반제(月半节)를 뉘얼제(女儿节)로 삼아 음력 7월 12, 13일 이틀간 부모는 출가한 딸을 친정집으로 맞아 한자리에 모여 조상에게 같이 제사를 지내야 한다. 이 날 출가한 여자가 많기 때문에 고향 진(镇)에 돌아오는 것을 ‘간창(赶场, 장터)’이라고 하며 오락 활동을 구경하는 아가씨와 젊은 새댁들이 많아 ‘뉘얼후이(女儿会)’라고 부르기도 한다.
웨반제(月半节)
명절에 지전을 태워야 해서 웨반즈(月半紙)라고 하며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다. 보름 전후로 돌아가신 선조가 모두 돌아오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웨반(月半)을 구이제(鬼节)라고도 한다. 녠샤오웨반다(年小月半大, 원소절이 새해보다 중요하다는 말)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명절이다.
중양절(重阳节)
대중양 소중양으로 나뉜다. 대중양은 19일, 소중양은 9일로 산에 올라가 버섯을 따기 때문에 중양균(重阳菌)을 줍는다고 한다.
시선(洗神)
옛날 토가족은 백호신(白虎神) 외에 ‘다(大), 얼(二), 싼선(三神)’(가신)을 섬겼다. 매년 음력 11월 초하루 돼지와 양을 잡고 남녀노소 모두 자기 민족의 의상을 입고 ‘시선(洗神)’에 참가하여 3가지 제수용품을 바쳤다. 남자무당은 손에 쓰다오(司刀, 칼의 일종), 영표(令牌)를 들고 소뿔을 불어 신을 부르는 살풀이 춤을 춘다. 그 후 한 무리의 남녀가 훠군(火棍, 삼척 길이의 대나무를 사용하며 붉은색 초록색을 그려 넣고 죽절을 연결해 오동유를 쏟아 천으로 막아 불을 붙인다)을 가지고 좌우로 빙빙 돌리며 민족 춤을 춘다.
[저작권자ⓒ 중국신문주간 한국어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포토뉴스PHOTO NEWS
많이본 기사
- 경제
- 사회
- 도시